테마요리
오늘의 요리
요리 베스트
맛있는 간식요리
나들이 요리
요리와 생활정보
깔끔한 디저트 만들기
맛집 베스트
레시피가 궁금해요
요리 abc
최고 맛집을 찾아라!
추천외식정보
유용한 요리상식
베스트 요리포토


요리와 생활정보

Home > 요리 > 테마요리 > 요리와 생활정보
요리와 생활정보
한 봄나물 고르기&깔...조회 493942  
정현정 조애니스트에게...조회 410395  
[전국] 무한리필 맛...조회 405290  
과일효소 만들기조회 358483  
장마땐 쌀통 안에 통...조회 274045  
식욕을 촉진하는 포도주조회 268641  
한식요리 연구가 이종...조회 257685  
냉장고 냄새 원인과 ...조회 228928  
전자레인지와 식초로 ...조회 228591  
실생활에 도움되는 상식조회 225230  

이전글 다음글 목록 

탄수화물 줄이고 단백질 늘리는 건강 식탁

글쓴이: 텐시  |  날짜: 2012-02-02 조회: 1741
http://cook.startools.co.kr/view.php?category=TUAYJQ%3D%3D&num=EBhPcxQ%3D&page=122   복사
우리 몸의 주요 에너지원인 탄수화물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섭취하는 총에너지의 50~70%를 차지한다. 주로 밥, 빵, 국수, 감자, 고구마 등에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다. 탄수화물은 몸에서 소화되면서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는 기름기의 일종인 글리코겐으로 몸 안에 저장되는데, 글리코겐이 많이 축적되면 비만의 원인이 된다. 또 탄수화물을 과다 섭취하면 당을 흡수하는 효소인 인슐린을 만드는 곳인 랑게르한스섬에 무리를 주기도 한다.

 

전문가들이 권장하는 열량 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60%에 단백질과 지방이 각각 20% 내외. 하지만 한국식 식탁은 총열량의 65~70% 정도를 탄수화물이 차지하고 있다. 의도하지 않아도 많은 엄마들이 적정 섭취 비율보다 탄수화물을 많이 먹이고 있는 실정. 특히 탄수화물 과다 섭취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간식이다.

 

과자, 빵, 케이크, 떡, 국수, 과일, 과일주스 등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간식을 섭취할 때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30%가량 증가한다. 반대로 단백질을 총칼로리의 17.1% 이상 섭취한 군을 총칼로리의 12.2%를 단백질로 섭취한 군보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40% 감소시킨다. 탄수화물의 지나친 섭취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도를 높이므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은 탄수화물 섭취량을 낮춰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탄수화물 줄이고 단백질 늘리는 건강 식탁

 

 

단백질은 신체의 새로운 조직을 만들고, 체중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성장기 아이는 단백질의 필요량이 더 높은 편이다. 그렇다고 무작정 아이에게 단백질을 먹이는 것은 금물. 단백질이라고 해서 모두가 똑같은 단백질이 아니다. 단백질의 섭취량도 중요하지만 단백질의 질 또한 중요한 것. 단백질의 질은 필수아미노산의 종류와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 동물성 단백인 우유, 달걀, 육류, 생선에는 인체에 필요한 양의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

 

콩이나 두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은 동물성 단백질보다는 질이 낮지만, 식물성 단백질을 다양하게 섭취하면 동물성 단백질과 동등한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영아기는 모유 단백질의 아미노산 패턴이 가장 이상적이다. 영유아기에는 단백질의 질이 더욱 중요한데,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동물성 단백인 우유, 달걀, 육류, 생선 등을 반드시 섭취해야 한다.

몸을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은 외부에서 단백질이 함유된 음식이 들어오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항체를 만든다. 일부 경우에는 이후 항체를 만든 단백질을 다시 먹었을 때 항원항체반응이 일어나 나쁜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식품 알레르기. 특히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는 아토피피부염을 꼽을 수 있으며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는 우유, 달걀, 대두, 생선, 돼지고기 등이 주요 원인이다. 드물게 감자, 양배추, 당근, 토마토, 사과, 키위, 국수류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안전한 단백질 섭취 가이드


·소고기
생후 6개월이 지나면 철분이나 아연 등 미량 영양소가 고갈되므로 반드시 음식으로 보충해줘야 한다. 미량 영양소가 가장 풍부하고 소화 흡수가 잘되는 식품이 바로 소고기. 철분이 많아 철결핍빈혈을 예방해주기 때문에 두 돌까지 자주 먹이는 것이 좋다.

·두부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 함량은 낮으며 맛이 부드러워 아기들이 먹기 좋고, 잘 으깨져 조리하기도 쉽다. 잘게 으깬 뒤 버섯이나 야채, 쌀과 섞어 죽을 쑤거나 기름 두르지 않은 팬에 볶아 먹인다. 단, 생으로 먹이는 것보다는 으깨어 조리해 먹이는 방법을 추천.

·달걀노른자
노른자부터 먹이는 것이 원칙으로 생후 7개월부터 먹일 수 있다. 알부민과 오보큐코이드 등 알레르기 유발 성분이 많은 흰자는 돌 이후, 알레르기 가족력이 있다면 아예 두 돌 이후로 미루는 것이 좋다. 처음 먹일 땐 달걀 ¼개 정도로 시작해 일주일에 3알 정도가 적정량. 특유의 비린내를 없애려면 양파와 함께 조리한다.

·생우유
젖소에서 짜낸 젖을 가공하고 영양분을 보충해 소화 흡수하기 좋은 상태로 만든 분유와 달리 생우유는 살균 과정만 거친다. 장 기능이 미약하고 알레르기를 일으킬 위험이 많은 만 1세 이전 아이에게 먹이면 구토나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생우유에 알레르기가 있다면 치즈, 요구르트 등의 유제품은 물론이고, 유제품이 들어간 빵과 과자도 먹이지 않는다. 생우유에는 철분 함량이 부족하므로 이유식 등으로 충분히 철분을 섭취하게 하면서 먹일 것.

이전글 다음글 목록 

총 게시글 2,515
현대인을 위한 채소 섭취 가이드 enjoy the vegetables현대인을 위한 채소 섭취 가이드 enjoy t...조회: 3890
현대인들에게 채소는 건강을 비롯하여 자연환경을 지키는 데 이르기까지 폭넓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채소를 왜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에 대해 식생활소통연구가 안은금주 씨가 ...
[ 텐시 | 2012-05-09 ]
이달의 추천 특산물, 마늘과 멍게이달의 추천 특산물, 마늘과 멍게조회: 2759
◆ 남해 마늘 5월 말이면 남해에서는 알싸한 마늘 향으로 가득합니다. 서산, 의성 등 마늘 좋기로 유명한 곳이 있지만 남해의 마늘은 중생대 제4기에 구성된 지층과 해풍을 ...
[ 달 | 2012-05-09 ]
조개 잡으러 떠난 여행, 조개 풍년 거제도조개 잡으러 떠난 여행, 조개 풍년 거제도조회: 2878
깊은 바다에서 건져 올리고, 넓은 갯벌에서 캐 올리고 지금 거제도에는 조개가 풍년이다. 싱싱한 바다의 맛을 그대로 머금은 제철 조개 잡으러 떠난 여행. 같은 남해 ...
[ 아라 | 2012-05-09 ]
다양한 오일의 올바른 사용법_ , HEALTHY oil MANUAL다양한 오일의 올바른 사용법_ , HEALTH...조회: 2302
오일이라고 해서 쓰임이 다 똑같은 것은 아니다.색과 향이 다른 만큼 영양과 요리에 활용하는 방법도 다르다. 올바른 사용으로 요리에 맛과 풍미를 더하자. ◆ 콩기름 콩기...
[ 아델리 | 2012-05-09 ]
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독초와 산나물, 혼동하지 마세요조회: 2320
봄철 야산이나 등산로에서 자라는 야생식물류를 산나물로 오인하거나, 식용나물을 잘못 조리해 섭취하면 식중독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봄철 야생식물류에 의한 ...
[ 큐트천사 | 2012-05-09 ]
상추 씻는 법, ‘흐르는 물 VS 받아둔 물’ 정답은?상추 씻는 법, ‘흐르는 물 VS 받아둔 ...조회: 2312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식중독의 한 원인이 되는 노로바이러스 주의보가 켜졌다. 노로바이러스는 10개 정도의 극소량으로도 인체감염을 일으킬 정도로 감염력이 높다. 또 노로바이러스에...
[ 시계바늘 | 2012-05-09 ]

검색

 돼지고기 김치찌게
 달콤한 고구마크로켓
 스트레스풀리는 화끈매운낙지
 길거리 토스트 만들기
 자취생이 좋아하는 저...
 싱글인 여동생을 위해...
 선물용 약식케익
 웰빙 새싹두부샐러드
 바삭바삭 맛있는 고구...
 고마운 밑반찬 어묵볶음.
무료문자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
피부에 좋은 음식
눌러붙은 계란찜 뚝배기 깔끔...
사골 끓이는 법
생생한 색깔의 과일도시락 만들기
맥주에 대한 지식
직장맘을 위한 간단한 반찬 ...
전문가에게 배운 수육 맛있게...
하루동안 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