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음료가 식혜가 아닐까 생각해요. 시원하고 달작지근해서 벌컥 벌컥 마시게 돼죠. 서울식은 삭힌 밥알을 건져 씻어 둬 먹을 때 조금만 띄우지만  경상도나 전라도는 감주라 해서 밥알을 많이 넣어 먹더라구요. 저의 레서피는 밥을 많이 삭혀 만든 감주에 가깝답니다.       
 1.엿기름을 면자루에 넣어 물 4L을 부어 1시간정도 불려 둡니다      
   
 
   
   
 
    
  
 2. 불린 후 엿기름자루를  빨래 주무르듯이 주물러서  엿기름 물을 3L정도 받아 놓으세요   밑에 가라 앉은 전분은 남기고 가능한 윗물만 따르세요 오랫동안 가만 두면 더 맑은 윗물을 따를 수 있겠지요 그러나 뜨거운 곳이나 여름같은 계절에는 빨리 쉬므로 조심하세요      
   
 
         3. 엿기름 자루에 남은 물 1L을  붓고, 주물러서 엿기름 물을 받아 놓습니다. 밑에 남은 전분은 남기고 가능한 윗물만 따르세요.  가라앉은 전분이 따라 들어가도 맛에는 상관이 없구요, 미관상 식혜가 맑지 않다는 것 뿐이니 상황에 맞춰 하면 됩니다. 
    4. 식은 흰밥이 많으면 식혜를 해 먹곤 하는데  새로 밥을 짓는다면 고들밥을 지으세요.    5. 위의 엿기름 물에서 윗물만 따라  흰밥과 함께 보온상태의 밥통에 넣고 최소 4시간 이상 삭힙니다.      시간이 초과할 수 있으나 완성된 상태는  밥알이  스펀지같은 상태이고, 밥알의 일부가 떠 있어야 합니다     
   
 
   
   
 
 
       6. 밥알이 일부 떠오르면 냄비에 옮겨 설탕을 넣고 30분정도 끓입니다.     
 
     
 
     ~ ~~   요리팁  ~~~                              ㅇ 엿기름은 종류가 많으니 가능한 좋은 것으로 구입하세요.    
 ㅇ 밥은 찹쌀, 멥쌀도 가능하나 고들밥이 좋습니다.                            ㅇ 행사가 있어 많이 하고 싶은데 밥통이 하나여서 고민이라구요?  걱정하지 마세요.                                밥을 삭힐 엿기름 물만 밥통에 넣고 나머지 엿기름 물은  밥알이 뜨고 나서 같이 끓이면                                많은 양의 식혜를 한번에 만들 수 있답니다.     |